본문 바로가기

뜨거운 감자

총선 여론조사와 휴대폰

국회의원 선거 야권 단일화를 위해 여론조사에서 부정행위를 한 이정희 후보가 "단일후보"로 선출되었음에도 사퇴를 해야하는 일이 벌어졌다. 선거일을 목전에 두고 언론사에서는 신뢰수준 95% 라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는데도, 뜨끈미지근하다.

이 두 가지는 다른 것 같지만, 서로 동일한 원인에 근거를 두는 결과이다. 여론조사가 신뢰받으려면 조사에 참여한 표본의 공정성과 무작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표본에 문제가 있는 이유는 3가지로 압축된다.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1주일전 보도된 각 언론사 여론조사 결과- 시사폴리뉴스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1주일전 보도된 각 언론사 여론조사 결과- 시사폴리뉴스 http://polinews.co.kr/viewnews.html?PageKey=0301&num=140580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1주일전 보도된 각 언론사 여론조사 결과
출처 - 시사폴리뉴스 http://polinews.co.kr/viewnews.html?PageKey=0301&num=140580

전국 규모의 여론조사에서는 표본을 폭넓은 모집단에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안 되었지만, 총선처럼 모집단이 전국 규모의 1/300 수준으로 줄어들면 표본 집단이 편향을 불러온다.

표본 집단으로 사용하던 전화번호부가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대폰을 사용하고, 집전화를 없애고 있다. 전화번호부도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사실 관계가 맞나?). 이제 표본 집단을 어떻게 선정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반드시 있어야 하고 검증도 받아야 적절한 여론조사로 인정할 수 있게 된거다.

집전화 또는 유선전화를 이용하면서 특정 세대만 응답하는 기현상이 벌어진다. "이정희" 사건을 놓고보면 세대별로 표본수를 맞춰야 하는 여론 조사의 표본 갖추기에 함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미리 세대별로 표본수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시작부터 잘못된 여론 조사였다고 보인다. 특이한 점은 지난 대선에서 이명박에 대한 여론조사가 득표율과 비슷하게 나왔는데, 세대별 선호도와 비슷했기 때문에 적극적인 응답층이 적극적인 투표층이 되어서 나타난 현상으로 적절한 여론 조사였다고 보기 어렵다.

정치 기피나 무관심으로 여론 조사 전화가 오면 끊어버리는 일이 많아서, 응답거부율도 중요한 지표로 여론 조사에 공표되어야 한다. 외국에서는 회신율이 특정 수준 미만일 경우에는 여론 조사 결과를 버린다고 한다. 우리도 그런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1936년  <리터라리 다이제스트 Literary Digest>에서 했던 대통령 선거 여론조사를 살펴보면 표본 선정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좋은 사례라고 하겠다.

관련 자료: 대통령 선거와 빗나간 여론조사